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민생회복지원금의 핵심은 바로 “누가, 얼마나 받는가”입니다.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하되,
소득 수준과 거주 지역 조건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달라집니다.
단 한 글자도 놓치지 말고 아래에서 확인하세요.
✔ 지원 대상은 누구?
정부는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을 전 국민 대상으로 발표했지만, 실제 지급 여부는 소득과 거주 지역에 따라 달라집니다.
- 전 국민: 소득 상위 10% 포함하여 100% 모두 포함
- 차상위계층 · 한부모가정: 가구 소득 기준 중하위층
- 기초생활수급자: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
- 비수도권 주민: 수도권 이외 지역 거주자
- 인구감소지역 거주자: 정부가 지정한 인구소멸 우려 지역 주민
※ 단, 외국인의 경우 영주권자, 결혼이민자, 난민 인정자만 신청 가능하며, 일반 외국인은 제외됩니다.
💰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
2025년 민생회복지원금은 1차(7~9월)와 2차(9~10월)로 나뉘어 지급되며, 아래와 같이 금액이 차등 적용됩니다.
지원 대상 | 1차 지급액 | 2차 지급액 | 총 지급액 |
---|---|---|---|
소득 상위 10% | 15만 원 | - | 15만 원 |
일반 국민 (상위 10% 제외) | 15만 원 | 10만 원 | 25만 원 |
차상위계층 · 한부모가정 | 30만 원 | 10만 원 | 40만 원 |
기초생활수급자 | 40만 원 | 10만 원 | 50만 원 |
📍 지역에 따른 추가 혜택
소득기준 외에도 거주 지역에 따라 추가 지원금이 주어집니다.
- 비수도권 주민: +3만 원
-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거주자: +5만 원
즉, 기초생활수급자가 인구감소지역에 거주할 경우 최대 55만 원까지 수령 가능합니다.
지원 대상 | 기본 지급액 | 지역 추가 지급 | 최대 수령액 |
---|---|---|---|
소득 상위 10% | 15만 원 | 최대 5만 원 | 20만 원 |
일반 국민 | 25만 원 | 최대 5만 원 | 30만 원 |
차상위계층 · 한부모가정 | 40만 원 | 최대 5만 원 | 45만 원 |
기초생활수급자 | 50만 원 | 최대 5만 원 | 55만 원 |
나의 소득과 지역 조건에 따라 지원금이 계산되기 때문에, 지금 반드시 해당 조건을 확인해보세요.